추후 박사 졸업하신 이후에 대기업연구소나, 정부출연연구소에 가실 생각이 있으시다고 해주셨습니다.
그렇다면 높은 서열의 대학원에 진학하시는게 보다 더 유리합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학벌사회라, 아무래도 고학력자의 취업은 스펙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물론, 정부출연연구소는 블라인드를 한다고는 하지만, 학벌은 알게모르게 작용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서류 제출할때 기재하는 저널만 찾아보더라도, 이름/소속/학과가 어디 출신인지 다 알 수 있는데, 블라인드는 겉치레에 불과합니다.)
저는 대학원 서열로 따지자면, 서/포/카 이후에 GIST/UNIST/DGIST까지가 마지막 커트라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의 경우 연고대도 조금.. 힘든 상황까지 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물론 학부레벨은 다릅니다^^)
학위기간이 1~2년 더 길어지더라도 높은 서열 대학원을 우선시하여 진학하시는게 연구개발자의 삶을 살기에는 훨씬 더 유리할 거라 생각합니다.
직장 경험을 충분히 살리셔서 잘 어필하시면 좋은 인상을 남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도교수님들은 성실함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니, 그부분에 대한 어필을 충분히 준비해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컨택시에는, 왜 연구가 하고싶어졌는지에 대한 납득할만한 논리를 가지고 가셔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연료전지/전기차 분야를 꼭 연구하고싶으신 이유가 있다면 그 꿈을 이루기위해서 가셔야겠지만,
분야에 목메기보다는, 유사 전공분야가 되더라도, 지도교수를 잘 선정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나이가 많다고 취업시장에서의 패널티가 크게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실력만 있다면, 30중반 이후의 박사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다만, 30대 초반의 나이에 학위를 시작하시는 것이므로,
거의 인생 마지막 갈림길에 섰다고 혼자서는 생각하시고 신중한 판단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박사를 왜 꼭 해야하는가?)
박사를 하더라도 돈은 충분히 벌지는 못하고, 안정적인 공공기관 취업이 절대 담보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안정적이고, 편하게 일하고, 노동대비 고소득 직장을 원해서 학위를 진학하고자 하시는것이라면,
대학원보다는 공기업 준비하시는게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연구라는 것을 진지하게 하고싶으신지를 많이 고민해보시면 판단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상입니다.
꾹이tv 운영자드림.
대학원 진학 및 진로 상담 전자책 출판 공지드립니다.
- 내가 대학원 적성에 맞는지 알고싶으신 분? - 취업을 위한 대학원 진학 생각이 있으신 분? - 연구개발 직군으로 취업하고 싶으신 분? - 전문연구요원을 통한 대학원 박사 생각이 있으신 분? - 자대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계시는 분? - 대학원 졸업 이후 기술 창업을 희망하시는 분?
대학원 관련하여 제가 알고있는 모든 노하우를 담은 전자책을 이번에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전자책 이름은 "꾹이의 REAL 현실 대학원 진학 가이드북"이며,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꾹이TV 과거 인기 컨텐츠 최신 내용 업데이트 - 대학원 진학 및 진로 상담 메일 300여건을 핵심 28개 문답으로 요약 (현실적인 답변과 함께 숨겨진 팁 다수 포함) - 자대 대학원 진학에 대한 생각, 그리고 석사 취업 최적 루트 - 대기업 연구소(S사 선행기술 연구소)의 장단점, 퇴사 이유 (최초 공개) - 스타트업 이직 이후 경험 (최초 공개) 등 총 120페이지 이상의 내용 구성 (A4기준, 글자 크기 12pt)